미국 주식이 박살나면 트럼프 지지층이 아예 박살 안나는건 아님
본문
"미국에서 월급쟁이 생활을 하면서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은 꾸준히 주식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20대 초반부터 연금 투자를 한도에 맞춰 지속했다면 50대 중후반에 100만달러(약 13억3000만원)까지 불어날 겁니다."
미국 뉴욕 금융의 심장 월스트리트에서 일하는 마이클 코이 씨(37)는 매년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미국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다. 2020년 팬데믹 이후부터는 기술·성장주들의 기업가치가 뛰면서 기술주 펀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코이 씨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같은 "매그니피센트7(M7)" 투자를 좋아한다"며 "최고 기업들에 연금자산을 투자하면서 함께 성장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적금에 연금자산이 묶인 한국과 다르게 미국 청년들은 연금자산을 기술주에 투자하는 게 흔하다. 공격적인 투자로 연금자산을 불린 후 중장년이 되면 가치주·배당주 비중을 늘리며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조정한다.
막대한 연금자산의 주식시장 유입은 수급상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주가가 오르면 연금 투자자들 계좌가 부유해지는 선순환 효과로도 이어진다.
이병선 모건스탠리 연금 디렉터는 "고령화로 공적연금 역할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선 자산 굴리기를 통해 연금의 절대 규모를 늘려야 한다"며 "복리 효과에 가장 적합한 자산이 주식"이라고 밝혔다.
요약
미국 주식이 박살 → 연금 박살
적어도 퇴직연금 가지고 있는 노년층 트럼프 지지자들은 타격 입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