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당시 투항 대상이 중요한 이유.jpg
본문
1. 리학구 (1922? ~ 1963)
북한군 13사단 참모장 총좌였던 그는
인천상륙작전후 낙동강 전선에서 사단장의 팔을 쏜 후 탈출하여 미군한테 투항한 뒤
남침 1호 작전서를 넘기고 국군으로 북한과 싸우겠다고 말했으나 미군은 요청을 거절했으며
포로수용소로 이송 후 친공포로로 분류.
윌리엄 딘 소장과 포로 교환후 북으로 돌아간뒤 1963년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2. 정봉욱 (1924 ~ 2018)
다부동 전투 당시 포병대 중좌였던 그는 국군한테 투항후 다부동 전투의 작전지도를 국군한테 넘긴후
국군의 승리를 크게 기여했으며.이후 국군 중령으로 특별임관 후
7사단 사단장, 육군훈련소장을 거쳤는데다
육군3사관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 후 소장으로 예편했다.
결론) 리학구는 미군에 투항해서 포로수용소로 이송됐으며 정봉욱은 국군에 투항해서 국군 장교로 임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