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유전자에서 발생한 키메라의 신비
본문
보통 키메라라고 하면
이런 거나
이런 거나
이런 거를 떠올릴 테지만
의외로 키메라는 의학적으로도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입증된 현상이다
마이크로키메라 현상이 그것이다
마이크로키메라 현상이란 유전적으로 서로 다른 세포가 한 개체 내에 공존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의학적으로는 서로 유전정보가 다른 둘이 서로 세포를 교환하면서 자연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를 교환하는 것으로 발생한다라는 특성상
마이크로키메라 현상은대부분의 경우 포유류가 임신했을 때 모체와 태아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현상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지만 어떤 식으로든 산모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는 많다.
대표적으로
산모의 건강이 좋지 않을 경우 태아가 줄기세포를 제공, 이는 상태가 영 좋지 않은 장기를 수리하는 데 쓰인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실제로 류머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을 가진 여성은 임신 기간동안 증상이 호전되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다시 말해
병약미소녀를 건강해지게 하려면 계속해서 임신시키면 된다는 것이다



